혹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이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이는 오늘날 4차 산업혁명이라는 용어와 함께 우리의 삶에서 아주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용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늘 글에서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의미와 등장배경 및 제4차 산업혁명에서의 시사점 등을 같이 확인해 볼게요
1.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이란 '기업이 새로운 비즈니스 제품, 모델 및 서비스를 창출하기 위해서 디지털 역량을 활용함으로써 고객 및 시장의 변화에 적응하거나 이를 주도하는 지속적인 프로세스'라고 IDC에 의해서 정의되고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IBM(2011)에서는 '기업이 디지털과 물리적 요소들을 통합하여 비즈니스 모델을 변화시키고 산업에 새로운 방향을 정립하는 전략'으로 보고 있습니다.
즉,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란 최신의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을 혁신하며, 끊임없이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고 경쟁력을 확보하는 노력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등장배경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등장 배경은 기술적 측면과 비즈니스 측면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기술적 측면에서 기업들은 IT 기술의 발전 속도가 가속화됨에 따라 더 낮은 가격으로 고성능의 IT 처리/저장 장치를 이용하게 된 점이 작용하였습니다. 기존에 관리하기 어려웠던 엄청난 규모의 운영데이터와 고객 데이터를 축적 및 활용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비즈니스 측면에서는 스마트폰의 대중화와 SNS의 활성화를 바탕으로 고객의 선호와 수요에 맞춰 기업들의 제품과 서비스의 라이프 사이클이 빨라지기 시작한 점을 들 수 있습니다. 포노 사피엔스라는 말이 생길 정도로 스마트폰에 심취한 사람들은 같은 장소에서도 여러 가지 메신저와 정보들을 활용하는 데에 집중하며, 대면보다 비대면을 활용해 일상의 많은 부분들을 수행해 나가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기술적 측면과 비즈니스 측면의 결합이 결국 기업들에게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대한 니즈를 강하게 만들어 냈다고 볼 수 있습니다.
3. 제4차 산업혁명에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의미
제4차 산업혁명은 3차 산업혁명과 비교해 더 빠른 변화의 속도, 변화의 넓은 범위, 시스템 및 자동화로 정의되는 혁신적 경향을 포함합니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제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서 기업들이 생존하기 위한 필수 불가결의 전략이자 방향성이 되고 있습니다. 특히 빅데이터, 모바일, 클라우드 및 소셜네트워크, AI 시스템 기술 등을 활용하여 운영 효율성과 경쟁력을 높이고 있습니다.
4.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사례
대표적인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사례는 스마트 팩토리를 들 수 있습니다. 생산 공장에서 사물인터넷(Iot)으로 연결된 센서들은 생산 공정에서 발생되는 빅데이터를 수집하여 제어시스템으로 보내며, 이때 제어시스템은 최적의 생산 공정을 위한 전략을 즉각적으로 도입하여 제조 공정을 더 효율화/자동화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제조공정이 디지털화되고, 끊임없이 더 효율화되는 것이 스마트 팩토리라고 불립니다.
이번 글에서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의미와 등장배경, 그리고 제4차 산업혁명에서의 함의와 사례를 살펴보았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이 중 제4차산업혁명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알기쉬운 블록체인과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밈 코인의 의미와 특징, 대표적인 밈코인 (3) | 2025.05.04 |
---|---|
PoW와 PoS 개념 및 장단점, 대표적인 암호화폐 (1) | 2025.05.04 |
블록체인의 특징 5가지, 꼭 알아야 할 블록체인의 주요 개념 (2) | 2025.05.03 |
5G 시대의 도래, 1G부터 5G까지 시대별 통신속도와 특징 (2) | 2025.05.01 |
4차 산업혁명의 의미와 특징 (1) | 2025.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