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속 알아두면 좋은 꿀팁들

2025년 11월 서울 축제 TOP 5 — 일정·참여방법·혜택·찾아가는 길

by 유용한도움 2025. 10. 11.

제 나름대로 정해 본 11월 축제 top 5 입니다! 선정기준은 다음의 5가지를 따랐습니다!

① 많은 참가자(인파) ② 매년(또는 장기간) 이어진 전통성 ③ 볼거리·프로그램 다양성 ④ 대중교통 접근성 ⑤ 참가 혜택(워크숍·시식·체험·공식 굿즈 등). 아래 5개는 위 기준을 종합해 11월에 특히 추천할 만한 서울 내 대표 축제들입니다.

출처(주요): VisitSeoul·Seoul.go.kr·VisitKorea·행사 공식 공지·언론 기사 등(본문 각 항목에 표시). 축제 일정·프로그램은 주최 측 사정으로 변경될 수 있으니 '최종 참가' 전 공식 안내를 확인하세요. 

1) 서울 김치 만드는 날·김장 축제 — Seoul Kimchi Making & Sharing Festival

일정(예정) : 2025년 11월 초 (예: 11월 6일~8일) — 매년 초겨울 김장철에 맞춰 열림.

장소 : 서울광장(시청 광장) 및 태평로·광화문 일대(부대행사 포함).

참여 방법

  • 사전예약형 체험(가정용 김치 담그기 세션 등)은 보통 공식 홈페이지 또는 현장 접수로 운영됩니다(외국인용 세션도 별도 운영되는 경우가 많음). 참가비와 인원 제한이 있으므로 사전 신청 권장.
  • 현장 무료 관람(전시·시식) · 지역 장터·푸드코너 자유 이용 — 일부 체험은 유료. 행사 첫날 오픈 스테이지·쇼 프로그램이 열립니다.

특별 혜택(볼거리·먹거리)

  • 전문 장인(마스터)과 함께하는 김장 워크숍(체험 후 포장지 제공 또는 일부 분량 기부·나눔) — 직접 만든 김치를 가져갈 수 있는 세션이 종종 있음. 
  • 지방 특산물 마켓, 김치 관련 쿠킹쇼·시식 코너, 세계 각국의 김치(외국인 대상 체험) 프로그램 등.
  • 가족 참여형 프로그램·어린이 체험존(한정권 신청 필요) — 가족 단위 참석에 최적.

찾아가는 길(대중교통)

지하철 시청역(1·2호선) 5번 출구 직결 또는 도보 1~3분. 광화문역(5호선)에서도 도보 이동 가능. (서울광장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10). 

실전 팁 : 워크숍은 인기가 매우 높으니 공식 사전접수(또는 SNS 공지)를 수시로 확인하세요. 김치 포장·귀가 시 보냉·포장 대비(비닐·박스) 권장.

2) 서울빛초롱축제 (Cheonggyecheon Lantern Festival)

일정(전통적 운영) : 매년 ‘11월 첫째 금요일 ~ 셋째 주말’ 정도(약 2~3주간)로 열리는 경우가 많음 — 2025년도 정확 일정은 주최 측 공지 확인 권장. 이 페스티벌은 야간 조명·랜턴 전시가 핵심입니다. 

장소 : 청계천 일대(청계광장~동대문·광장시장 쪽) — 야간 산책로 일대가 전시 공간이 됨. 

참여 방법

  • 입장 무료(야간 산책형 전시). 주요 포토존·특설무대는 자유 관람. 일부 체험존·완구·기념품은 유료 운영.
  • 단체 관람·사진 촬영 이벤트 등은 행사 홈페이지에서 선발 공지(특별 프로그램 참여는 사전예약 필요). 

특별 혜택(볼거리)

  • 전통 등(紙燈)과 현대 LED 설치물이 어우러져 밤마다 색다른 풍경 제공 — 특히 가족·연인 야간 데이트 코스로 인기. 
  • 야간공연·영등포·광장시장과 연계한 먹거리 부스가 있어 ‘산책 + 야식’ 코스로 추천.

찾아가는 길(대중교통)

청계광장 기준: 광화문역(5호선) 5번 출구 또는 시청역(1·2호선)·종로3가역(1·3·5호선)에서 도보 이동. 청계천은 구간별로 진입이 쉬워 근처 지하철에서 내려 바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실전 팁 : 밤 기온이 내려가니 방한 준비 필수(따뜻한 옷/담요). 인파가 몰리므로 주중 야간 방문을 추천합니다(주말은 포토존 대기시간 발생).

3) 2025 서울 가을 축제 — Seoul Autumn Festa (공연 예술 중심)

일정 : 2025년 10월~11월 중(예: 10월 4일 ~ 11월 12일)까지 다양한 공연·전시·오픈스테이지로 구성된 시리즈형 축제입니다. (여러 장소 분산 개최)

장소 : 서울광장·세종문화회관·노들섬·공연전용장소 등 시내 곳곳(프로그램별 상이)

참여 방법

  • 오프닝 공연 등 메인 공연은 무료·유료 혼합(공연별 예매 또는 현장 선착순 입장). 프로그램별 예매처나 SFAC(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공지 확인 필요.
  • 공공 프로그램(거리 공연·팝업 전시)은 별도 예약 없이 관람 가능.

특별 혜택(볼거리)

  • 오페라·무용·전통 공연·실험 공연 등 장르가 다양하여 '다채로운 문화 체험' 가능 — 해외 아티스트 초청 공연도 포함되는 경우가 많음. 
  • 공공 프로그램은 시민 참여형 워크숍·체험이 많아 '공연+체험'을 한 자리에서 즐길 수 있습니다.

찾아가는 길(대중교통)

프로그램별 장소가 달라 가장 가까운 지하철 역을 행사 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예: 서울광장 → 시청역 5번 출구, 노들섬 관련 프로그램 → 노들섬 접근 정보). 

실전 팁 : 공연은 좌석 한정인 경우가 많으니 미리(공식 예매처) 예약하세요. 여러 공연을 하루에 보려면 동선(시내 이동)을 고려해 일정 구성 권장.

4) 제5회 서울건축도시비엔날레 (Seoul Biennale of Architecture & Urbanism)

일정 : 2025년 9월 26일 ~ 11월 18일(전시형 대형 행사 — 11월 중 참여 가능).

장소 : Songhyeon Green Plaza(오픈형 전시), Seoul Hall of Urbanism & Architecture 등 주요 전시·도시공간 일대. 

참여 방법

  • 전시 관람(유료/무료 혼합) — 공식 홈페이지에서 티켓 및 전시 프로그램 확인 후 방문. 일부 야외 전시는 무료 관람 가능. 
  • 학술 세미나·워크숍은 사전 등록·유료인 경우도 있으니 관심 프로그램은 사전 신청하세요.

특별 혜택(볼거리)

  • 세계적 큐레이터(예: Thomas Heatherwick) 참여 등 국제적 스케일의 전시 — 건축·도시 디자인에 관심 있는 방문객에게 교육적·시각적 인사이트 제공. 
  • 대형 설치 작업·퍼포먼스·공공조형물 등은 인스타그램 등 SNS에 올리기 좋은 볼거리로 인기.

찾아가는 길(대중교통)

전시별 장소가 상이하므로 공식 전시 안내 페이지의 '오시는 길'을 확인하세요(대표적 야외 전시 장소는 시내 접근성이 좋음). 자세한 전시 장소·교통 안내는 공식 페이지 참조. 

실전 팁 : 전시장은 넓게 분산될 수 있으므로 하루에 모두 보려 하기보다 관심 전시 위주로 동선을 계획하세요. 일부 전시는 예약 필수입니다.

5) 서울뮤직페스티벌(Seoul Music Festival) — 도심·야외 음악 페스티벌

일정(예정) : 2025년 11월 초·주말(예: 11월 1~2일 등) — 해마다 개최 시기가 다소 유동적이며 2025년에는 장소 이동(노들섬 → Oil Tank Culture Park 등) 사례가 보입니다. 참가 전 공식 공지 확인 권장.

장소 : Nodeul Island(노들섬) / Oil Tank Culture Park(프로그램별 상이) — 2025년 일부 프로그램이 Oil Tank으로 이동해 운영된 사례 있음. 

참여 방법

  • 메인 콘서트는 티켓(예매) 기반. 무료 공연·오픈 스테이지도 병행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공식 라인업·일정 확인 후 예매. 
  • 현장 푸드·마켓, 지역 아티스트 공연 등은 별도 예약 없이 자유 관람 가능.

특별 혜택(볼거리)

  • 다양한 장르(인디·팝·클래식·전통음악) 통합 라인업 — 한 자리에서 여러 장르 즐기기 좋음. 
  • 야외 페스티벌 특성상 푸드트럭·팝업 스토어·굿즈존 등 부대행사 혜택이 풍성함.

찾아가는 길(대중교통)

Oil Tank Culture Park 접근: 월드컵경기장역(6호선)에서 도보 이동(출구 2권장). 노들섬 접근 시에는 반포·여의도 쪽 대중교통 연계(행사별 교통안내 확인). 

실전 팁 : 티켓은 조기매진되는 편이니 라인업 확정 즉시 예매하세요. 야외 공연 특성상 방한·우천 대비(비옷·휴대용 방석 등)를 준비하면 편하게 관람 가능합니다.

어떻게 11월 일정을 짤까? — 현명한 축제 플래닝 체크리스트

  • 우선순위 결정: 체험(김치 만들기 등) 우선참여 → 야간산책(랜턴) → 공연(예매 필요) 순으로 동선을 구성하면 이동과 체력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 교통: 중앙권(시청·광화문·청계천)은 지하철 접근이 아주 편리하므로 대중교통 권장. Oil Tank 등 일부 장소는 월드컵경기장역 등에서 도보 이동 필요. 
  • 예산: 김치 페스티벌의 체험은 소액 유료, 음악페스티벌은 티켓 유료, 랜턴·가을페스타의 일부 프로그램은 무료인 경우가 많습니다 — 예산별로 프로그램을 선택하세요.
  • 날씨·방한: 11월 초중반은 초겨울에 접어들어 쌀쌀하니 방한 준비 필수.

참고 및 주요 출처: VisitSeoul(서울관광), Seoul.go.kr(서울시 공지), VisitKorea(한국관광공사), 행사 공식 페이지·언론 보도. 

대표 출처 예시: 서울 김치축제 안내(Seoul Plaza 관련 공지)·VisitSeoul 'Seoul Autumn Festa'·Seoul Biennale of Architecture & Urbanism 공지·Seoul Lantern Festival 소개 자료.

 

 

서울 축제 TOP 5 11월
11월 서울 축제 TOP 5